가끔 의욕이 넘쳐서 음식을 평소보다 더 많이, 더 좋은 재료로 만들떄가 있다.
하지만 늘 쓰던 그릇에 담으면 넘치기 일쑤다.마음같아선 오늘 이 요리를 그냥 확 부어서 먹고싶지만 그 그릇에 맞는 양이 있는데 그날 나의 욕심에 따라 그릇을 그자리에서 바로 늘일수는 없다..
이처럼 사람도 누군가의 욕심만큼 지식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양만큼 담아지는건아니다. 사람은 배운 지식을 최대한 소화시켜 내 것으로 만드는 공부,인테이크가 잘되는 공부를 하여야하는데 이 인테이크를 잘하려면 "공부그릇"이 필요하다고 심정섭 선생님은 "공부보다 공부그릇"이라는 책에서 말씀하신다.그리고 공부그릇에는 "몸""마음""머리" 이 세가지가 갖춰줘야하는데 이 세가지 공부그릇은 학교나 학원보다 가정에서 길러진다고하신다.
공부그릇은 단순히 국,영,수 문제를 잘 푸는 능력에만 국한되지않는다.체력과 편안한 마음,그리고 독서 토론능력이라는 공부그릇으로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서 행복한 인생을 만들기 위한 평생의 공부 하드웨어와 엔진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목표라고 심정섭선생님은 말씀하신다.
첫번째 공부그릇은 몸이다.아이가 중,고등학교 6년의 긴 레이스를 흔들이 없이 완주하려면 가장 중요한 부분이 체력이다.가장 중요한 고2,3에 병원을 들락날락거리며 시간 낭비하는 일이 없으려면 아이가 한 살이라도 어릴때 운동하게 하고 좋은 음식을 먹도록 챙기는 것이 부모의 가장 큰 역학이다.
집중해서 책을 읽고,내용을 기억하거나 암기하는 인지적인 공부는 뇌에 상당한 무리를 준다.뇌가 어느 정도 일하고 난 후 뇌에 충분한 혈류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데 이떄 간단한 운동이나 땀 흘림을 통해 뇌에 새로운 혈액과 산소를 공급할 수있다.진짜 공부를 잘하는 아이들은 간단한 운동을 하거나,어느 정도 땀을 흘리고 잠깜 자고 일어나서 공부하면 공부가 잘 된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다.
우리나라에서 공부로 승부를 보려면 고2,3에 엉덩이가 의자에 붙었다 싶을 정도로 집중력있게 공부해야 한다.그런데 으려서부터 잘못된 습관 때문에 엉덩이를 붙이지 ㅁ소하는 아이들이 점점 늘고 있다.고등학교 때 집중력있는 공부를 할 수 있도록 또한 평생 살아갈 수 있는 튼튼한 척추화 허리를 위해서라도 아이들이 좀 더 걷고 뛰게 해주어야 한다.
김해 어쌤블 커피
'책책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부그릇 ---마음그릇 (0) | 2020.04.28 |
---|---|
공부보다 공부그릇(심정섭)---2.마음그릇 (0) | 2020.04.28 |
시간관리의 기술(더멘토 공부의 기술) (0) | 2020.04.23 |
기본기를 얼마나 연습해야할까?(더 멘토 공부의 기술 중) (0) | 2020.04.23 |
기본기인 반복훈련이 성장으로 이어지는 방법(더 멘토 공부의 기술 중) (0) | 2020.04.23 |